목록비밀 (386)
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도쿄올림픽때 대지진이 일어난 뒤 한국에 전쟁이 나게되는데 이후 경제붕괴, 기근, 재난, 지진, 각종 범죄의 창궐, 사이비 종교의 난립 등으로 한국인들은 엄청난 고통들을 받게 될 것이다 게다가 전쟁의 끝을 알리는 백두산 폭발로 인해 북한에서 수많은 난민들이 치안 시스템이 붕괴된 남한에 내려오기까지 하므로 한국인들의 고통은 상상 이상으로 심각해질것이다 그러나 한국인들이 압도적인 폭력과 절망과 공포 속에서 고통받다가 어느순간 해외로 도망칠 수 있는 문이 활짝 열리게 되는때가 오게된다 그때에 수많은 한국인들은 해외로 도망치게 될 것이다 해외로 도망칠수 있는 그 큰 문이 열리는 이유에는 정말 많은 이유가 있지만 그중 두가지를 설명하겠다 첫째는 수많은 한국인들이 해외로 가게되면 자연스럽게 기독..
전 세계는 대공황에 빠질 것이다

“군함도에는 조선인 전용 유곽이 있었다” [편집자주] '군함도'(정식명칭 하시마섬)는 통상적인 역사 인식을 갖고 있는 한국인들에게는 아픈 기억으로 남아있다. 많은 대한민국 사람들은 일제 치하에서 조선인들이 군함도에 강제로 끌려가야 했으며, 무자비한 노동착취와 비인간적 대우로 고통을 받다가 죽어갔다고 생각한다. 특히 국내 영화, 언론 등 미디어들은 군함도를 지옥으로 묘사하고 유네스코 등재를 비판하면서 한국인들에게 일본인들에 대한 적개심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하지만 군함도의 실상에 대해서 일본 측이 갖고 있는 입장은 한국 측 입장과는 완전히 다르다. 일본의 일반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産業遺産国民会議, 이하 산유국)는 홈페이지를 통해 “군함도는 지옥섬이 아니다. 학대나 인권유린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조선인 ..

군함도를 지옥으로 묘사하는 반미종북 운동가 구연철 씨의 증언이 점차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서, 구 씨의 증언에 의문을 제기한 ‘올바른 역사를 추구하는 하시마 도민회(真実の歴史を追求する端島島民の会)’(하시마회)가 한일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또 하시마회를 지원해온 일반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産業遺産国民会議)’(산유국)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일본의 자유보수 계열 신문사인 산케이는 지난달 21일, ‘[외교 안보 취재] 날조 사관에 흔들리는 군함도, 옛 도민의 증언 동영상으로 반증(【外交安保取材】ねつ造史観に揺れる軍艦島 元島民の証言動画で反証)’ 이라는 제목의 ‘하시마회’와 ‘산유국’ 관련 기획기사를 게재했다. ▲ 산케이 2019년 12월 21일자 기사 ‘[외교 안보 취재] 날조 사관에 흔들리는..

군함도 포스터. 영화사 제공 김민철 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객원교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광장에 ‘군함도의 진실’이라는 영상을 홍보해 주목을 끌었다. 유네스코세계유산위원회가 유네스코산업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근대산업시설 중 한국인 등의 강제동원 관련 시설에 ‘역사의 전모’를 밝히라고 일본 정부에 권고한 사항을 이행하도록 촉구하기 위한 영상이다. 그런데 이 영상에는 몇 가지 부정확한 사실이 담겨 있다. 영상에서는 일본 나가사키항 근처의 섬, 군함도에 강제동원되어 죽은 한국인이 120명이라 한다. 그러나 1984년 일본 시민단체가 찾아낸 자료에 따르면 1925년부터 1945년까지 하시마에서 죽은 한국인은 123명이다. 여기에는 강제동원 당사자가 아닌 여자와 ..
미국에서 40년가까이 연재되고있는 디스트로이어란 시리즈가 있습니다. 의외로 인기를 끌고있는 소설시리즈죠; 이 소설 시리즈에서는 한국의 무술집단이 존재하는데 이 집단이 바로 신안주!!! 이 집단은 웃기게도 어찌 된게 인류 역사에서 좀 유명했다 싶은 자들은 동서양을 가리지않고 다들 신안주 마스터들에게 호되게 까인적이 있으니;;; 이들이야 말로 암중의 흑막;;; 1대마스터부터 몇몇 마스터는 단군;;;이였고(넵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그 단군 맞습니다;;;) 신안주의 499대 마스터인 치운(원래는 100몇대였다 들었는데 소설이 진행되면서 설정변화로 인해 고조선시대부터 이어져왔다는군요)이 히틀러의 악행을 보다못해 암살하러가자 히틀러가 겁을 먹고 스스로 자살했다는 설정;;; 신안주는 무엇인가 신안..
https://youtu.be/TMNDEc5froU https://youtu.be/6ajO11H2Cds https://youtu.be/cwZUcHjP-nw
이승만 대통령의 업적을 정리해본다. 1875. 3. 26 출생. 1948. 7. 24--1960. 4. 26 대통령 재임. 1965. 7.19 별세. 워싱턴 대학 학사, 하버드 대학원 석사, 프린스턴 대학교 철학박사. 1. 대한민국 건국 준비. 1910 서울 YMCA 총무. 1912. 3 하와이에서 독립운동. 1919. 4. 13 중국 상해 임시정부 조직. 국무총리 이승만. 9. 11 임시대통령 이승만. 2. 일본 비판책 저술. 1941. 8 라는 책을 미국 워싱턴에서 출판. 3. 남한 단독선거 유엔 승인. 1948. 2. 26 유엔 소총회에서 남한 단독선거 승인. 4. 제헌국회의원 선거. 1948. 5. 10 제헌국회의원 선거. 5. 31 제헌국회 초대 국회의장. 5. 대한민국 헌법 제정. 19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