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이해찬ㆍ이부영, 중앙일보가 그리 만만해 보이나? 본문
국무총리 이해찬, 열린우리당 의장 이부영. 그들이 공개적으로 ‘조선과 동아’를 향해서 포문을 열었다. 민족의 반역자, 시대착오, 냉전시대에 조성된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몸부림, 퇴행적 기득권...이 두 사람이 조선과 동아를 향해서 쏟아 논 단어와 표현들을 열거하기 숨가쁘다.
‘조동’은 있는데 중앙일보는 왜 없나
▲조중동은 언론의 권위에 스스로 먹칠하면서 심심하면 언론을 들먹이는데 이참에 지하철에 무료로 배포하는 것이 어떨지? ©대자보 |
하지만 왜 이들은 중앙일보에 대해서 침묵하는지는 이해할 수 없다. 이해찬이 이 주장을 하며 폭탄주를 돌릴 때 중앙일보 기자가 있었기 때문에 조선과 동아만 언급한 것이리라. 이부영이 조선과 동아만 언급한 것은 아마도 ‘동아’만 겨냥하기가 뭐 해서 하나를 덧붙였는데 중앙이 아니고 조선을 갖다 붙였으리라. 주지하다시피 이부영은 동아에서 짤린 해직기자이다.
그래도 좋다. 중앙을 빼고 가도 좋고, 동아만 겨냥해도 좋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조중동’은 여전히 한 묶음이라는 사실을. 지금도 민족반역 신문이요, 민주적대 신문이요, 반통일 세력의 앞잡이요, 시대착오적 신문이라는 사실을.
‘국가보안법 폐지 반대 선동, 과거사 진상규명 반대 선동, 사립학교 개정 반대 선동, 언론법 개정 반대 선동.’ 연일 이들이 자신들의 가랑이가 찢어지는 줄도 모르고 펼치는 4대 입법 반대 선전선동은 수 십 년간 축적된 모든 기법을 총망라한 느낌이다. 이를 통해 이 땅의 수구세력을 향해서 자신들의 건재함을 과시하면서 ‘우리가 반대하는데 감히 누가’하며 건들거리는 그 꼬락서니를 보며, 다시 한번 이해찬과 이부영에게 이들의 정체를 설명해 주고자 한다.
‘사주의, 사주에 의한, 사주를 위한 언론의 자유’
지난 20일 사주들의 모임인 신문협회가 성명서를 냈다. 동아일보 사주 김병관이 90년부터 94년까지 회장을, 조선일보 사주 방상훈이 97년부터 2000년까지 회장을, 그리고 2003년부터 현재까지 중앙일보 사주 홍석현이 회장으로 있고 조중동의 ‘입술’을 자처하는 신문협회. 그들이 낸 성명서를 보라.
열린우리당이 제시한 신문관련 법안은 민주주의 사회의 헌법적 기본가치인 언론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할 소지가 있다....정치권력의 이성과 언론의 이성은 서로 경쟁하고 견제할 때 민주주의가 발전한다는 것이 역사적 교훈이다...정치권력에 의한 언론규제는 민주사회에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우리사회의 민주역량으로 이 문제에 대한 합리적 결론이 도출되기를 기대하며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국회 논의과정을 주시할 것이다. 2004년 10월20일 한국신문협회
‘앙꼬’ 빠진 4대 개혁입법 중 가장 심한 퇴행을 보인 신문법을 발의한 열린우리당을 향해서 ‘반민주’라고 ‘반헌법적’이라고 심지어 ‘반역사적’이라고 모질게 꾸짖는다. 욕 들어도 싸다. 하지만 더 심한 문제는 열린우리당을 비판하는 이들의 자격이다.
성명서에 ‘민주’가 무려 4번이나 등장한다. 홍석현과 신문협회의 民主는 社主를 의미한다. ‘社主주의의 사회’, ‘社主주의가 발전’, ‘社主사회’, ‘社主역량’ 등으로 民主 대신 社主를 대치하면 어쩜 꼭 그렇게 들어맞을 수가 있는지. 이 글을 읽는 이부영과 이해찬 그리고 독자들도 위의 굵은 글씨에서 民主 대신 社主를 넣어 읽어보시길 바란다.
언론학에서 언론의 자유를 언급하면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비판적 설명이 “‘언론의 자유’는 ‘사주의 자유’ 또는 ‘신문사의 자유’를 의미하지 않는다”이다. 한데 홍석현과 신문협회는 ‘언론의 자유’와 ‘사주의 자유’를 등치시키고 ‘신문사의 자유’로까지 자유의 개념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 사회의 개혁은 조중동 제몫 찾아주는 것에서 시작된다. ©한겨레신문 |
자전거를 뿌릴 자유, 비데를 설치해 줄 자유, 상품권에 이어 현금까지 뿌리며 구독을 강요할 자유, 그래서 언론의 다원성을 파괴하는 자유, 노동자 농민 도시서민의 궁핍한 현실을 외면하고 재벌 등 부자의 삶의 질을 위해서 발언할 자유, 제왕적 절대 권력을 이용해서 자사 기자들을 노예적 검투사로 만들어 내는 자유, 그 검투사들이 자신의 형제를 향해 위해를 가하고 부모를 협박하며 심지어 자신들의 자식까지 살인적 경쟁 불공정한 경쟁에 몰아넣게 하는 자유, ‘있었던 일’을 ‘없었던 일’로, 항쟁을 폭동으로, 난동을 의거로 왜곡할 수 있는 자유. 반민족할 자유, 반민주할 자유, 반통일할 자유...
‘사주의, 사주에 의한, 사주를 위한 언론의 자유’가 가득한 나라가 아닐 수 없다.
헌법과 역사는 조중동의 선전물이 아니다
그리고 홍석현과 신문협회는 ‘헌법적 기본가치’로 언론의 자유를 언급한다. 헌법의 기본가치 중 핵심 중 핵심은 인권이다. 세상사람들이 국가보안법을 인권침해의 대표적인 악법이라고 손가락질한다. 한데 보안법을 유지하기 위해서 악다구니를 쓰고 있는 언론이 어디인가. 바로 신문협회의 주류인 조중동이 아닌가. 이들이 헌법적 기본가치를 운운할 자격이 있는가. 헌법이 울고 갈 일이다.
그리고 더 충격적인 것은 이 성명서에서 ‘역사의 교훈’이라는 표현을 본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친일반역행위’를 하고도 뻔뻔하게 버티며 여론을 조작해서 생존한 역사로부터 배우는 교훈은 있다. 조중동이 ‘친독재부역행위’ 및 ‘민주주의살해행위’를 하고도 정권으로부터 비호 받으며 돈벌어 성장해서 지금도 잘 살고 있는 역사로부터 배우는 교훈은 있다.
하지만 조중동이 일본제국주의에 저항하고, 독재정권에 항거한 역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들이 주장하는 ‘언론에 의한 정치권력에 대한 견제’는 역사적 기록을 통해 거의 찾을 수 없을뿐더러, 이런 역사의 교훈을 우리는 경험한 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대로 이런 역사의 교훈은 있다. 조중동이 피 흘리며 독립투쟁이며 민주화투쟁을 한 사람들이 일구어놓은 국가의 독립과 사회의 민주화에 무임승차하고, 무임승차도 모자라 자기들이 한 것인 양 ‘민족언론’ ‘비판언론’ 운운하며 국민을 사기치는 역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분명히 있다.
친일반역자 진상규명, 반인권적 국가보안법 폐지, 학력의 부익부 빈익빈을 조장하며 가진 자들의 놀이터로 전락한 사립학교의 정상화, 정치부패 사회부패에는 침묵하며 합리적 사회를 꿈꾸는 모든 세력을 향해 직업적 흠집내기에 광분한 언론의 정상화. 이것이 역사로부터 배우는 교훈이다.
李-李 주장, 정치적 꼼수가 아니기를
▲언론학 박사, 전국언론노동조합 정책위원이지만, 언론개혁을 위해서라면 전투적 글쓰기도 마다하지 않는 양문석 전문위원 ©대자보 |
보았는가. 이들의 정체를. 그래서 이부영과 이해찬은 조중동을 향해서 지독한 욕설을 내뱉기 전에, 먼저 되돌아 봐야 할 것이 있다. 이들 신문사들의 온갖 악행을 견제할 수 있는 장치인 ‘신문법’이다. 그 중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사주의, 사주에 의한, 사주를 위한 신문’을 견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도적 규제인 ‘사주의 소유지분축소’다. 열린우리당이 쏙 빼 먹은 그것 말이다. 문제는 이런 제도적 규제 그것도 최소한의 규제마저 외면하는 열린우리당의 행태에 대해서 침묵하면서 조중동을 욕한다면, ‘조중동과 대립각세우기-대권전략-정치적 꼼수’로 폄하할 수 밖에 없다.
이해찬과 이부영이 언론개혁의 진정성을 보일 때다. / 논설위원
* 본 기사는 <경향신문> '언바세바(www.khan.com)에 기고한 기사입니다.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나라당과 조선 동아, 몰락 자초하고 있다 (0) | 2021.10.02 |
---|---|
힘없다는 조선일보, 정말 까불 자격이라도 있나? (0) | 2021.10.02 |
참을 수 없는 조중동의 '시민단체 죽이기' (0) | 2021.10.02 |
인구오너스(Demographic Onus)시대의 문제점과 대책 출처:스팀잇 (0) | 2021.10.01 |
노무현의 주검 앞에 김대중의 최후 선동 (0) | 2021.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