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예루살렘이 혼취케 하는 잔과 무거운 돌이 되리라[출처] 예루살렘이 혼취케 하는 잔과 무거운 돌이 되리라|작성자 예레미야 본문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동예루살렘 성지갈등 후 무력 충돌(종합)
가자 지구발 로켓 공격에 이스라엘군 전투기 공습 대응
이스라엘 경찰, 이슬람 3대 성지 알아크사 사원내 팔레스타인 주민 강경 진압
팔' 자치정부·하마스 등 반발…요르단·이집트·사우디도 비판

(카이로·서울=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김동호 기자 = 이슬람 금식성월인 라마단(3월 23일∼4월20일)과 출애굽을 기념하는 유대 명절인 유월절(4월 5일∼22일)이 겹치는 첫날인 5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올해 무력 충돌도 동예루살렘에 있는 이슬람교와 유대교, 기독교의 공통 성지를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됐다.
이스라엘군(IDF)은 이날 새벽 전투기를 동원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있는 무장 정파 하마스의 무기 생산 및 저장시설 2곳에 대한 공습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군은 이번 공습이 밤새 간헐적으로 이어져 온 가자 지구발 로켓 공격에 대한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가자지구에서는 이스라엘 남부를 겨냥해 3차례에 걸쳐 총 10발의 로켓포탄이 발사됐다.
이 가운데 5발은 공터에 떨어졌고 4발은 이스라엘군의 저고도 방공망인 아이언돔에 요격됐다.

나머지 한발은 이스라엘 남부 스데로트 산업지구에 있는 공장을 타격했으나 아직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슬람 금식성월인 라마단과 이스라엘 유대인의 최대명절인 유월절이 겹치는 첫날에 벌어진 양측의 무력 충돌은 동예루살렘의 이슬람교 3대 성지인 알아크사 사원을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됐다.
이날 새벽 알아크사 사원 내부에서는 팔레스타인 주민들과 이스라엘 경찰이 충돌했다.
이스라엘 경찰은 전날 저녁 기도가 끝난 뒤 복면을 하고 몽둥이와 폭죽 등을 소지한 팔레스타인 주민 수십명이 사원 안에서 문을 걸어 잠그는 바람에 물리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했다.
사원 내부에 있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강제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경찰은 섬광 수류탄을 터뜨리거나 고무탄을 쏘기도 했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도 폭죽을 터뜨리고 돌팔매질하며 맞섰다.

이 과정에서 고무탄에 맞거나 진압 경찰에게 얻어맞은 팔레스타인 주민 7명이 부상했다고 적신월사가 전했다. 적신월사는 이스라엘 경찰이 부상자 치료를 위한 의료진의 접근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사원 내 충돌 후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 측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성지에서 레드 라인을 넘는 점령 세력(이스라엘)에 경고한다. 이는 폭발적 충돌을 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마스의 군사 조직인 알카삼여단측 대변인도 "가자지구 저항군의 인내심이 바닥을 드러냈다. 우리는 알아크사 사원 참배객들을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알아크사 사원 경내에서 충돌이 빚어지자 사원 관리자인 요르단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중재역을 맡아온 이집트 등이 이스라엘 경찰의 강경 진압을 성토했다.
또 이슬람 시아파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도 외무부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경찰의 강경 진압이 평화 노력을 흔든다고 비판했다.
* 이스라엘의 랜드마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알 아크사 사원은 7년 대환난의 기간 제 3 성전이 세워질 성전산에 세워진 이슬람 사원으로 이슬람 사람들은 이곳을 이슬람의 제 3 성지로 여기고 있다.

성경적으로는 현재 알아크사 사원이 세워진 이곳이 바로 아브라함이 독자 이삭을 번제로 드리기 위해 찾아간 곳으로 훗날 솔로몬 시대 때 성전이 세워진 곳이기도 하다. 솔로몬이 이곳에 세운 첫 번째 성전이 바벨론에 의해서 무너지고, 70년 간의 바벨론 포로 생활이 끝난 뒤에는 고향으로 돌아온 유대인들이 스룹바벨 총독의 지휘 아래 이곳에 두 번째 성전을 지었는데, 예수님 당시 예루살렘에 있던 성전이 바로 이 스룹바벨 성전을 헤롯 대왕이 화려하게 리모델링한 성전인 것이다. 이렇듯 예수님의 공생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 번째 성전도, 예수님의 예언처럼 AD 70년 로마에 의해 돌 하나도 돌위에 남지 않도록(눅 21:6) 철저히 파괴되었는데, 바로 이 자리에 AD 600년 경 이슬람 사람들이 알 아크사 사원을 세워 지금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많은 유대인들은 현재 알 아크사 사원이 위치한 성전산에 제 3 성전이 세워질 것으로 믿고 있는데, 이에 대해 종말에 관한 성경의 예언들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조만간 곡과 마곡의 전쟁이 일어날 때 에스겔 38장의 예언처럼 예루살렘에 큰 지진이 일어나면(겔 38:19), 이 알아크사 사원이 무너지고 그 자리에 제 3 성전이 세워지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하튼 종말의 때를 예언하고 있는 스가랴 12장에서는 마지막 때가 되면 예루살렘이 “혼취케 하는 잔(a cup of trembling)”과 “무거운 돌(a burdensome stone)”이 될 것이라 하셨다.

현재 예루살렘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격화되고 있는 갈등이 바로 이 종말에 관한 예언이 성취되고 있는 과정일 수 있다는 뜻이다.
“보라 내가 예루살렘으로 그 사면 국민에게 혼취케 하는 잔이 되게 할 것이라 예루살렘이 에워싸일 때에 유다에까지 미치리라. 그 날에는 내가 예루살렘으로 모든 국민에게 무거운 돌이 되게 하리니 무릇 그것을 드는 자는 크게 상할 것이라 천하 만국이 그것을 치려고 모이리라.”(스가랴 12장 2, 3절)
- 예레미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