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물이 세번 넘치면 말세가 온다는 본문
소재:충북 괴산군 증평읍 사곡리 2구(사청마을)
구조:석축목조중방
깊이:54M(수심:28M)
충북 괴산 증평읍 사곡리의 사청(射廳)마을에 우물이 세 번 넘치면 말세가 온다는 '말세우물'이라고 부르는 샘이 있다. 사청 마을은 옛날 이곳에 활을 쏘던 사정(射亭)이 있다 하여 붙여진 마을이다.
첫번째 넘친 후 임진왜란이 일어났고,
두번째 넘친 후 한일 합방으로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빼앗겻다고 합니다.
전설의 자세한 내용입니다.
조선 초기 세조가 조카인 단종을 쫓아내서 죽인 뒤 나라 안에는 몇 년째 심한 가뭄이 들었다고 한다. 오랜 가뭄으로 산하대지는 타는 듯 메말랐다. 더위가 어찌나 기승을 부렸던지 한낮이면 사람은 물론 짐승들도 밖에 나오질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서기 1456 丙子년) 한 무명도승이 지금의 충청북도 사곡리 마을을 지나며 우물을 찾았다.
더위에 먼 길을 오느라 갈증이 심한 모양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찾아도 스님의 눈엔 우물이 보이질 않았다. 하는 수 없이 스님은 어느 집 사립문을 밀고 들어섰다.
"주인 계십니까? 지나가는 객승 목이 말라 물 한 그릇 얻어 마실까 합니다."
"대청마루에 잠간 앉아 계세요. 곧 물을 길어 올리겠습니다."
주인 아낙은 길어다 놓은 물이 없다며 물동이를 이고 밖으로 나갔다.
스님은 아낙의 마음씀이 고마워 대청마루에 앉아 땀을 식히고 있었다. 그러나 물길러 간 아낙은 몇 시간이 지나도 오질 않았다. 이상하게 생각한 스님은 목마른 것도 바쁜 길도 잊은 채 호기심이 생겨 아낙이 돌아오길 기다렸다. 저녁 무렵, 아낙은 얼마나 걸음을 재촉했는지 숨을 몰아쉬며 한 손으로 구슬땀을 닦으면서 물동이를 이고 왔다.
"스님, 오래 기다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아낙은 공손히 물을 떠 올렸다. 우선 시원한 물을 받아 마신 스님은 궁금증을 풀 양으로 아낙에게 물었다.
"거, 샘이 먼가 보군요."
"이 마을엔 샘이 없습니다. 여기서 10리쯤 가서 길어온 물입니다."
아낙의 수고를 치하한 스님은 무슨 생각에선지 짚고 온 지팡이로 마당을 세 번 두들겨 보았다.
"과연 이 마을은 물이 귀하겠구려. 마을 땅이 층층이 암반으로 덮였으니 원… 그러나 걱정마시오. 내 주인 아주머니의 은공에 보답키 위해 좋은 우물 하나를 선사하고 가리다 "
이 말을 남긴 스님은 그 집을 나와 마을 구석구석을 살폈다.
동네 한복판에 이른 스님은 큰 바위에 다가서서 역시 지팡이를 들어 세 번 두들기더니 고개를 끄덕였다. 그리곤 우물을 파다가 도승이 나타났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온 청년들에게 일렀다.
"이 바위를 파시오."
"스님, 여기는 바위가 아닙니까? 물이 나올 리 만무합니다."
청년들이 믿기 어렵다는 듯 말했으나 스님의 표정은 태연자약할 뿐아니라 엄숙하기까지 했다.
"자, 어서 여길 파시오. 겨울이면 더운물이 솟아날 것이고 여름이면 냉차 같은 시원한 물이 나올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고 장마져도 넘치지 않을 것이오."
청년들은 도승의 말에 위압당한 듯 어안이 벙벙하였다. 이때 한 청년이 앞으로 나서더니 스님의 말씀을 믿고 한번 파보자고 제의했다.
장정들이 밤낮으로 사흘을 파도 물줄기는 보이질 않았다. 스님은 계속 팔 것을 명했고, 청년들은 내친걸음이니 시키는 대로 해보자며 작업을 계속했다.
닷새쯤 팠을 때다. 바위 틈새에서 샘물이 솟기 시작했다. 맑고 깨끗한 물이 콸콸 흘러 금방 한길 우물 깊이를 채웠다. 청년들은 기쁨을 감출 수 없어 서로 부여안고 울며 춤을 췄다.
샘물이 솟는다는 소문에 온 마을이 뒤집혔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우물을 구경하러 모여들었고 물을 마시며 기뻐했다. 그들에겐 생명의 샘이나 다름없었다. 이 모습을 아무 표정없이 지켜보던 스님이 입을 열었다.
"자, 조용히 하고 소승의 말을 들으세요. 앞으로 이 우물은 넘치거나 줄어드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일 이 우물이 넘치는 날에는 나라에 큰 변이 있을 것입니다."
마을 사람들이 웅성거리며 쑥덕거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스님은 들은 체도 않고 말을 이었다.
"지난날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 임금을 폐하고 왕위에 올랐지만, 만약 이 우물이 넘치는 날에는 그보다 몇 배 더 큰 변란이 일어날 것입니다."
"스님, 이 우물이 그렇게 무서운 우물이면 차라리 지난날처럼 10리밖 개울물을 길어다 먹고 살겠습니다."
"너무 걱정들 마시오. 이 우물이 세 번 넘치는 날이면 이 세상은 말세가 되니까, 그때 여러분은 이 마을을 떠나시오."
이 말을 남긴 스님은 뒤도 돌아보지 않은 채 표연히 자취를 감췄다. 마을 사람들은 기쁨도 컸지만 한편으로 두려움도 없지 않았다. 이들은 모이기만 하면 비슷한 말을 주고 받았다.
"평생 숙원인 우물이 생기긴 했네만…."
"과연 기이한 일일세그려."
"그 도승의 말을 너무 염려할 것은 없을 것 같으이."
그러나 '우물이 세 번만 넘치면 말세가 온다'는 소문은 차츰 멀리 퍼져나갔다.
"과연 우물이 넘칠 것인가."
사람들의 입에서 화제가 되는 동안 세월은 어느덧 백여년이 지났다.
그러던 어느 날 새벽, 물 길러 나간 아낙 하나가 우물가에서 기절을 했다. 우물이 철철 넘치고 있었던 것이었다.
이 말은 삽시간에이웃 마을까지 펴졌다. 사람들은 무슨 변이 일어날지 몰라 안절부절했다. 그로부터 며칠 후 왜구가 쳐들어왔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이 난이 곧 임진왜란(1592년)이었다.
또한 사백년의 세월이 흐르던 1910년 한일합방이 되던 경술국치가 있던 정월 중순에 두 번째 우물이 넘쳤다.우리민족이 역사상 나라를 잃은 해였다.
그리고 우물이 넘치지 않았지만 우물이 차오르던 기록이 있다. 1950년 6월 24일에는 우물이 1m내외로 불어나서 6.25사변을 알렸다. 또한 1995년 11월에 또 우물이 불어났다가 줄었다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무슨 변고를 예고한 것인지 모르나 후인들은 알 것이다.
또한 이 우물은 명샘으로 물을 길다가 우물에 빠져도 가라 앉지를 않고 물위에 동동 떠올라 모두 구조할 수가 있었다.
이렇게 구조된 사람은 장옥분 당시 16세(부인) 연기남 13세(소녀) 연규인 14세(소녀) 연경세 11세(소녀)4명이다. 그러나 1947년 음력 2월경 우물 하부 석축이 우그러들어 재공사를 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보릿고개에 시달려서 명샘에 고사도 못올리고 지나던 중 연규성씨 딸 10세소녀가 물을 길다가 변을 당했다.
마을 사람들은 용왕님의 벌을 받은 것으로 생각하고 경악하면서 정성을 다하여 가가호호 촛불을 밝히고 무녀를 들여 굿을 하였다.
마을에서는 도승의 말을 오래오래 간직하여 정성껏 정결하게 관리 사용하며 세세년년 국태민안으로 정든 고향을 떠나지 않기를 바라며 예고의 이 우물을 항시 주시하며 신성시 하고 잇다. 마지막 세 번째 우물이 넘치지 않기를...
아무 일 없이 정량을 유지한 채 조용히 샘솟고 있는 이 우물이 과연 또 넘칠 것인가.
그리고 스님의 예언대로 세상의 종말이 올 것인가.
아직 세 번째 우물이 넘치지 않코 있다. 그러나 세 번째로 우물이 넘치면 그 도승의 말대로 말세 개벽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예의 주시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 도승의 유지가 세 번째 우물이 넘치거든 마을을 떠나라는 말씀이 있었기 때문이다. 약 550년 세월동안 장구한 세월동안 잊지 않코 그 도승의 말이 전해져 오는 것은 바로 그의 예언이 두 번이나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앞으로 남은 세 번째 우물이 넘칠 때 진정으로 말세가 찾아오리라.
미래세계에 관심있으면 예의 주시하기 바랍니다.
약 50호의 농가가 평화롭게 살고 있는 사곡리 사청마을의 말세우물.
아무리 많이 퍼 써도, 또 아무리 가물어도 장마가 들어도 한결같이 줄지도 늘지도 않은 채 그 깊이 만큼의 정량을 유지하고 마을 사람들의 식수가 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우물이 지닌 전설을 자랑으로 여기며 부처님 받들 듯 위한다고 한다. 한 스님의 신통력과 예언은 후세인들에게 신비의 전설로서 뿐 아니라 자비의 뜻과 삶의 정도를 일깨워 주고 있다.
'격감유록, 천부경, 송하비결, 정감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사고와 정감록 (0) | 2021.10.04 |
---|---|
격암유록 남사고는 누구인가? (0) | 2021.10.04 |
삼척 동자도 아는 일 (0) | 2021.10.04 |
동양의 대예언가 격암 남사고 (0) | 2021.10.04 |
차길진 충격예언 “백두산과 후지산 폭발 임박” (0) | 202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