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알아야할것 (68)
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정의 일제강점기 훙커우공원 투탄의거와 관련된 독립운동가.의사(義士). 키워드 월진회 수암체육회 한인애국단원 투탄의거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본명은 윤우의(尹禹儀). 호는 매헌(梅軒). 충청남도 예산 출신. 아버지는 윤황(尹璜)이며, 어머니는 경주김씨로 김원상(金元祥)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8년 덕산보통학교(德山普通學校)에 입학했으나 다음 해에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자극받아 식민지 노예교육을 배격하면서 학교를 자퇴하였다. 이어 최병대(崔秉大) 문하에서 동생 윤성의(尹聖儀)와 한학을 공부했으며, 1921년 성주록(成周錄)의 오치서숙(烏峙書塾)에서 사서삼경 등 중국 고전을 익혔다. 1926년 서숙생활을 마치고 농민계몽·농촌부흥운동·독서회운동 등으로 농촌 부흥에 전력하였다. 다음 해 이를 더..
정의 일제강점기 일왕투탄의거와 관련된 독립운동가. 키워드 일왕폭살계획 제1차상해사변 금정청년회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이진구(李鎭球)이다. 서울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천도교가 세운 서울 용산 문창보통학교(文昌普通學校)를 졸업한 뒤 상급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한학 공부를 하다 1913년 일본인 과자점의 점원으로 들어갔다. 1917년 용산 원효로에 있는 일본인 경영의 화전(和田) 상점 점원으로 일하다가 1919년 해고당하였다. 1920년에는 용산역 만선철도(滿鮮鐵道)의 기차운전견습소의 역부(驛夫)를 지냈다. 이어 같은 해 전철수(轉轍手)와 연결수(連結手)가 되었다. 1921년경 한·일 간의 임금 격차 문제에 눈을 뜨고 항일의식이 싹텄다. 1924년 4월 위의 직책에서 해고당하였다. 19..
정의 동아일보사에서 김성수 등 78명의 발기인에 의하여 1920년에 창간한 신문.일간신문. 키워드 손기정 스포츠동아 주간동아 과학동아 동아비즈니스리뷰 발간 경위 및 변천 1920년 4월 1일 김성수(金性洙)를 대표로 한 78명의 발기인에 의하여 창간되었다. 체재는 평판4면제(平版四面制)였다. 당시의 진용을 보면 사장에 박영효(朴泳孝), 편집감독에 유근(柳瑾)·양기탁(梁起鐸), 주간에 장덕수(張德秀), 편집국장에 이상협(李相協) 등이 활약하였다. 창간 당시부터 민족대변지라는 자각으로 출발하여, 창간사에서 ‘① 조선민족의 표현기관으로 자임(自任)하노라. ② 민주주의를 지지하노라. ③ 문화주의를 제창하노라.’라는 3개 주지(主旨)를 밝혔는데, 이는 지금까지 사시(社是)로 지속되고 있다. 그리하여 창간 당시부..
정의 중앙일보사에서 사회정의와 사회복지를 이루기 위하여 1965년에 창간한 신문.일간신문. 키워드 이병철 李秉喆 편찬/발간 경위 중앙일보는 1965년 9월 22일 이병철(李秉喆)을 창업주로 하여 창간되었다.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동 58-9였다. 사장은 이병철, 부사장은 홍진기(洪璡基), 편집국장은 이원교(李元敎)가 맡았다. 이 신문의 사시(社是)는 창업주인 이병철 초대 사장의 취임사에서 밝히고 있듯이 “사회기풍을 침체경향에서 발전의 방향으로 진작시키고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의 공정성을 일깨우며 창조와 생산의 풍토가 이룩될 수 있는 길잡이가 되고자 하는 것”이며, ‘사회정의’와 ‘사회복지’를 이룩할 ‘사회공기’의 실현이다. 그리고 ① 중립의 논설, 세련된 칼럼, ② 정치적 엄정중립, ③ 도의..
정의 조선일보사에서 신문명진보주의의 선전을 목적으로 1920년에 창간한 신문. 일간신문. 키워드 다이쇼실업친목회大正實業親睦會 남궁훈 南宮薰 이상재 李商在 개설 조선일보는 1920년 3월 5일 서울 관철동 249에서 타블로이드 배대판(倍大版) 4면의 6일자 석간을 창간호로 내놓았으며, 제2호는 창간 특집으로 8면을 발행하였다. 사장 조진태(趙鎭泰)를 비롯하여 당시 경제단체인 다이쇼실업친목회(大正實業親睦會)의 중견 인물들이 간부진을 형성하였다. 발행인 겸 부사장 예종석(芮宗錫), 편집국장 최강(崔岡), 이 밖에 서만순(徐晩淳)·최원식(崔瑗植)·최남(崔楠)·방한민(方漢旻)·최국현(崔國鉉) 등이 참여하였다. 창간 당시의 발행 목적은 ‘신문명진보주의(新文明進步主義)의 선전’이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신문은 ..
정의 1910년 일본 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완전한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 키워드 경술국치 강제병합 데라우치 총독 역사적 배경 경술국치조약·일제병탄조약이라고도 한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한국의 주권을 침탈하기 위해 러일강화조약(포츠머스조약)에서 일본측 전권위원의 결의 표명으로, ‘일본국 전권위원은 일본국이 장래 한국에 있어서 취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조치가 동국의 주권을 침해하게 될 경우 한국 정부와 합의한 뒤 이를 집행할 것을 여기에 서명한다.’는 내용을 회의록에 넣었다. 이는 일본이 한국의 주권을 침탈할 경우 반드시 한국 정부의 동의를 얻고 집행하겠다고 국제적 약속을 하면서 열강의 양해를 구한 것이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일제는 무력으로 일거에 한국을 집어삼키지 못하고,..
정의 1894년(고종 31) 전라도 고부의 동학접주 전봉준(全琫準) 등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운동. 개설 이 운동은 처음 교조 최제우(崔濟愚)의 신원운동(伸寃運動)을 통하여 정치운동으로 성장하고 뒤에 민란과 결합하여 동학농민운동으로 전개되었는데, 황현(黃玹)이 “동학이 난민과 합쳐졌다”라고 표현한 것은 이 경우를 가리킨 것이다. 역사적 배경 동학농민운동에 있어서 동학은 농민의 요구를 횡적으로 연결시킨 조직적 매개체의 역할 또는 단순한 종교적 외피에 지나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지만, 이는 사상적 계기 또는 농민운동의 지도원리로서의 동학의 역할을 과소평가한 데서 나온 학설에 지나지 않다. 동학은 문제의 해결을 개인의 내면적 구제에서 구하려고 하는 종교적 성격과, 국가의 보위와 농민..
정의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 개설 1차 침입이 임진년에 일어났으므로 ‘임진왜란’이라 부르며, 2차 침입이 정유년에 있었으므로 ‘정유재란’이라 한다. 하지만 임진왜란 하면 일반적으로 정유재란까지 포함시켜 말한다. 이 왜란을 일본에서는 ‘분로쿠[文祿]·케이초[慶長]의 역(役)’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만력(萬曆)의 역(役)’으로 부른다. 배경 조선이 임진왜란을 당하여 전쟁 초기 이를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국력이 쇠약해진 것은 왜란이 일어난 선조대에 이르러서 비롯된 것은 아니었다. 이미 훨씬 이전부터 중쇠(中衰)의 기운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정치적으로는 연산군 이후 명종대에 이르는 4대 사화(四大士禍)와 훈구(勳舊)·사림(士林) 세력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