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알아야할것 (68)
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정의 1995년 6월 삼풍백화점이 붕괴된 사고. 개설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2분경 서울 서초동 소재 삼풍백화점이 부실공사 등의 원인으로 갑자기 붕괴되어 1천여명 이상의 종업원과 고객들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한 대형 사고였다. 역사적 배경 설계 시에 대단지 상가로 설계되었던 것이 정밀한 구조 진단 없이 백화점으로 변경되어 1989년 완공되었다. 그 후에도 무리한 확장공사가 수시로 진행되었다. 붕괴 조짐이 있었지만 백화점은 응급조치로 대응했다.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는 설계·시공·유지관리의 부실에 따른 예고된 참사였다. 1년 전의 성수대교 붕괴사건(1994년 10월 21일)과 함께 압축성장의 그림자였다. 경과 지상 5층, 지하 4층, 그리고 옥상의 부대시설로 이루어진 삼풍백화점은 붕괴사고가 일어나기 ..
정의 우리 민족을 지칭하는 역사용어. 개설 배달이라는 용어는 배달족·배달민족·배달겨레·배달얼·배달족역사 등등, 우리민족과 관련한 여러 단어와 합성되어 근대 이후 지금까지 사용되는 말이다. 배달의 연원은 단군(檀君)의 단을 박달 혹은 배달로 부르는데 기원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배달이란 말이 우리 민족을 지칭하는 말이지만 그 연원은 확실하지 않다. 『규원사화(揆園史話)』에서 단(檀)을 박달, 백달로 읽다가 이후 배달로 읽어 오늘에 이르렀다. 내용 우리 민족을 지칭하는 ‘배달’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책이 조선 숙종 때 쓰인 『규원사화』이다. 이 책은 저자의 이름이 전해지지 않고 북애(北崖)라는 호(혹은 필명)만이 전할 뿐이다. 『규원사화』는 전래 신교(神敎)의 사상적 가치를 담아,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는 역..
정의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섬. 개설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독도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독도 행정 관리: 해양수산부)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336호(1982년 11월 문화재청)로 지정되어 있다. 주소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분번 포함 101필지)이다. 동도와 서도 외에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187,554㎡(동도 73,297㎡, 서도 88,740㎡)이다. 독도의 좌표는 동도 삼각점 기준으로 북위 37도 14분 22초, 동경 131도 52분 08초이며, 울릉도의 동남향 87.4㎞에 위치한다. 울릉도에서는 맑은 날 독도를 볼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가까워서 삼국시대부터 울릉도에 부속된 섬으로 인식되고 이용되어 왔다. ..
정의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사회 개발운동함. 개설 근면·자조·협동의 기본 정신과 실천을 범국민적·범국가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가발전을 가속적으로 촉진시키려는 목적으로 진행된 운동이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정의는 논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다른 모든 기획적 사회변동계획과 마찬가지로 새마을운동도 발의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변화과정을 거쳤다. 첫째 범주의 정의는 한국고유의 농촌통합개발의 성공적인 유형이라고 보는 것이다. 새마을운동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던 농촌지역을 획기적으로 개발하면서 발의되었기 때문인데, 오늘날 이른바 농촌새마을운동이라고 구별되고 있다. 그런데 국제적으로는 여전히 새마을운동이 통합농촌개발유형, 즉 농촌새마을운동으로 이해되고 있다. 둘째 범주의 정의는 새마을운동..
아름다운 이 땅에 금수강산에 단군 할아버지가 터 잡으시고 홍익인간 뜻으로 나라 세우니 대대손손 훌륭한 인물도 많아 고구려 세운 동명왕, 백제 온조왕 알에서 나온 혁거세 만주 벌판 달려라 광개토대왕 신라 장군 이사부 백결선생 떡 방아 삼천 궁녀 의자왕 황산벌의 계백 맞서 싸운 관창 역사는 흐른다 말 목 자른 김유신, 통일 문무왕 원효대사 해골 물, 혜초 천축국 바다의 왕자 장보고, 발해 대조영 귀주대첩 강감찬, 서희 거란족 무단 정치 정중부, 화포 최무선 죽림칠현 김부식 지눌국사 조계종, 의천 천태종 대마도 정벌 이종무 일편단심 정몽주 목화씨는 문익점 해동공자 최충 삼국유사 일연 역사는 흐른다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최영 장군의 말씀 받들자 황희 정승, 맹사성, 과학 장영실 신숙주와 한명회 역사는 안다..
정의 일제강점기 사기진작을 위한 의병가를 만들고, 의병활동을 적극 후원한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서울 출신. 아버지는 윤익상(尹翼商)이다. 16세 때 고흥유씨(高興柳氏) 유제원(柳濟遠)에게 출가해 유홍석(柳弘錫)의 며느리, 유중교(柳重敎)의 증손부가 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5년 명성황후시해사건(을미사변)과 단발령이 강행되자 시아버지인 유홍석이 유중악(柳重岳)·유중락(柳重洛) 등의 춘천 유림과 더불어 이소응(李昭應)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고 춘천과 가평 일대에서 의병작전을 전개할 때, 윤희순은 「안사람의 의병가」·「병정의 노래」 등 수십 수의 의병가를 지어 의병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직접·간접으로 춘천의병 활동을 적극 후원하였다.이 때 춘천의병이 무기의 열세로 적의 공격을 못이겨 유홍..
정의 일제강점기 『국어문법』, 『말의 소리』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개설 본관은 상주(尙州). 초명은 상호(相鎬), 일명 한힌샘·백천(白泉). 황해도 봉산 출생. 아버지는 주학원(周鶴苑)이며, 어머니는 연안이씨이다. 둘째아들로 둘째아버지 주학만(周鶴萬)에게 입양되었다. 어려서 아버지에게 한문을 배우다가 양아버지를 따라 1887년 6월에 상경하였다. 생애 서당에서 한문을 계속 배우면서 신학문에 눈뜨자 1894년 9월 배재학당(培材學堂)에 입학하였다. 도중에 인천부 관립이운학교(官立利運學校) 속성과 관비생으로 선발되어 졸업하였으나, 정계의 격변으로 해운계로의 진출이 무산되고, 1896년 4월 다시 배재학당 보통과에 입학하였다. 마침 1896년 4월 『독립신문』을 창간한 서재필(徐載弼)에게 발탁되어 독..
정의 1897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존속하였던 조선왕조의 국가. 내용 조선은 근대 이전에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의례상의 위계적 아시아 국제질서 때문에 국왕의 지위를 중국의 천자와 대등한 지위에 올려놓지 못하였다. 그런데 근대에 이르러 이러한 세계관에 변화가 일기 시작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 때 급진개화파들은 혁신정강 제1조에서 “중국이 납치해간 대원군을 하루속히 돌려 보낼 것, 조공하는 허례의 의행은 폐지할 것” 등을 공포하였다. 또한 조선국왕을 중국의 황제와 동등한 의례적 지위에 놓으려고 시도하였다. 그들은 종래 국왕을 공식적으로 ‘군주(君主)’라고 호칭하던 것을 ‘대군주(大君主)’라고 호칭하도록 하고, 국왕을 ‘전하’라고 부르던 것을 황제와 마찬가지로 ‘폐하’라고 높여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