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초저출산 국가 한국의 미래는_상편[출처] 초저출산 국가 한국의 미래는_상편|작성자 무덤덤 본문

카테고리 없음

초저출산 국가 한국의 미래는_상편[출처] 초저출산 국가 한국의 미래는_상편|작성자 무덤덤

천아1234 2023. 1. 28. 18:52

이전 포스팅에서

1) 저출산 사태의 심각성

2) 저출산 원인

3) 저출산 해결책

4) 미래에 대한 대비

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지금부터는 각각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1),2) 내용에 대해 요약해보았습니다.

https://youtu.be/AGC6dFxXdn4

https://youtu.be/whE2XptuoFs

1. 저출산 사태의 심각성

1) 가파르게 출어들고 있는 출산율

출산율이 2.1이하 - 저출산 국가

(인구수가 유지되는 기준)

출산율이 1.3이하 - 초저출산 국가

-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대 초부터 초저출산 국가이며 출산율은 갈수록 가파르게 감소하여 2020년에는 2011년에 예측했던 출생아수보다 20만명 가까이 감소하였습니다.

- 예측치보다 더 빠르게 출생아수가 줄어들기때문에 생각보다 더 빠른 시기에 인구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맞이할 가능성이 큽니다.

2) 노동 생산 인구 감소

- 저출산은 전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전세계 생산 가능 인구는 줄어들고 있습니다.

- 그중에서도 한국은 더 많이 줄어들어 2067년에는 인구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까지 떨어집니다.

3) 노인부양비율 증가

-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와 평균 수명 연장의 효과로 인해 노인부양비율은 증가합니다.

- 앞으로 약 10년뒤에는 성인 2명이 1명의 노양을 부양해야합니다.

이는 생각보다 더 큰 문제입니다.

- 75세 이상부터는 유병노화가 시작됩니다.

2030년부터 20년간 75세 이상 인구는 1700만명 증가합니다.

- 정부가 부담하기 어려운 단계에 들어서기 때문에 간호 및 요양은 가족의 몫이 될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생산인구 감소 고령 인구 증가

-> 연금의 고부담(더많이내고) 저급여(더적게받음)

유병인구의 증가

-> 가족들의 간호 및 요양 부담 증가

와 같은 문제로 이어지게 됩니다.


2. 저출산의 원인

젊은 세대의 수도권 편중화

-> 인구 밀도 증가 -> 경쟁 심화

-> 불안 및 안정성 결여(ex-고용 및 주거)

+ 비용 증가 (ex-결혼, 부동산) -> 저출산

- 수도권 집중 현상은 다음과 같이 양성 피드백을 일으키게됩니다.

지방에서 20대 인구의 수도권 이동 (교육 및 일자리)

-> 주변 사람따라 수도권으로 이동

-> 수도권에 인구 및 인프라 집중

경쟁이 심화됨에따라 서울에 살던 20대는 30대가 되면서 경기도로 내려가게 됩니다.

인구 피라미드를 중첩해보면,

이는 자연스레 여러가지 사회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저출산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1) 부동산 가격 상승

- 서울 아파트 가격과 저출산율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입니다. 상대적으로 고용은 크게 줄어들지 않습니다.

- 1990년대에는 20-30대에 갖출수있던 주거 환경을 2020년대에는 30-40대에 갖춰지며 이는 노산과 비혼으로 이어집니다.

2) 고용 불안감

- 출산이 집중되는 나이대인 3040의 고용 불안감이 가장 높습니다.

3) 결혼 및 양육 비용 증가

- 결혼 및 양육 시장이 축소화됨에 따라 고급화, 세분화가 이루어지면서 비용이 증가합니다.

- 남성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기혼자 비율이 높으며, 여성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아집니다.

저출산은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시작된 복합적인 사회문제들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부의 대책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다음 포스팅은 3) 저출산 해결책 4) 미래에 대한 대비

내용으로 요약해보겠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