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일본군 성노예제란? 본문

일본군 위안부

일본군 성노예제란?

천아1234 2021. 8. 11. 18:41

황금주 할머니의 어린 시절
군용트럭으로 이동하는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들

1930년대부터 1945년 일본의 패전에 이르기까지 일본군이 제도적으로 ‘군위안소’를 설치하여 점령지와 식민지 여성들을 동원해 성노예로 만든 범죄를 말합니다. 범죄의 주체인 일본군을 명기하고 역사적인 용어로서의 위안부를 따옴표 안에 넣어 일본군‘위안부’로 표기하며, 영어로는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으로 표현하여 ‘성노예’라는 범죄의 본질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 혼동되기 쉬운 단어 ]

* 종군위안부 : ‘종군’에는 자발적이었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정신대 : 일본의 전시체제 돌입과 함께 조선의 노동력을 강제 동원한 제도를 말하며, 여성의 경우 여자(근로)정신대라는 이름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

군위안소 종업부 등 모집에 관한 건 – 성노예 징집에 있어 일본육군성의 관여를 드러내는 문서
일본군 위안소 분포도

일본군성노예제의 경우, 1930년대 초 일본군에 의한 강간사건이 빈번해지자 점령지역에서의 반일감정이 고조되었고, 군인들이 성병에 걸리는 일이 발생하여 전쟁 수행에 차질을 빚게 되자 이에 따라 ‘위안소’ 제도가 도입되고, 일본군은 식민지 및 점령지 여성들을 동원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 정부에 등록된 피해자들의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된 바로는 연행 당시의 나이가 11세에서 27세에 이르며, 피해자 대다수가 취업 사기, 유괴, 납치 등의 방식으로 동원되었습니다.

위안소에서 사용된 콘돔 – 돌격 1호라고 불렸다
위안소 규정 – 군인 군속 외 입장금지 규정 및 입장요금 등이 병참사령부 명의로 적혀있다
위안소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는 군인들

‘군위안소’의 경우 설립·운영·‘위안부’ 모집에 있어 군이 직접 하거나 민간에 위임한 경우, 그밖에 시기와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나타냈으나 어느 경우에나 군대의 보호와 감독, 엄격한 통제를 받았습니다. 각 ‘위안소’의 규정에는 계급별 사용시간, 요금, 성병검진 및 기타 위생사항 등이 명기되어 있었으며, 많은 군인들이 몰려 20-30명이 문 밖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경우도 많았다고 피해자들의 증언에서 알 수 있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들은 일본 병사들의 안전을 위해 성병검진을 주기적으로 받아야 했으며, 월경, 임신 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리더라도 무자비하게 강간을 당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여성들은 마음대로 ‘위안소’를 떠날 수 없었고 기본적인 이동이나 생활도 통제를 받았고, 성노예들을 일컬어 “천황이 하사한 선물”, “위생적인 공중변소”라고 한 기록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위안소 내부 모습
성병검진대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와 성노예 생활에 시달리다 버마에서 발견된 북측 피해자 박영심 할머니 (맨우측) – 1944년 9월

이후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함께 일본군 성노예로 끌려간 여성들은 현지에서 버려지거나 폭격으로 사망, 혹은 일본군에 의해 살해당하기도 했습니다. 생존자들은 고향으로 돌아오기 위해 다시 고난에 직면해야 했고, 일부는 고향으로 돌아올 수 없어 귀국을 포기하는 사례도 발생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들은 ‘위안소’에서 당한 구타나 고문 그리고 성폭력 등으로 인해 평생 치유하기 힘든 신체적 고통 속에 살며, 심지어 아이를 낳을 수 없는 경우도 많았고, 이로 인해 가정을 이루는 것도 어려웠습니다. 무엇보다 여러 심리적 후유증을 평생 안고 주위의 시선과 편견에 맞닥뜨려 긴 세월을 침묵 속에 살아야만 했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가 세상에 드러나게 된 계기는 1988년 ‘여성과 관광문화 세미나’에서 윤정옥 교수에 의해 알려졌고, 이후 여성단체들의 연대를 통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1990년 11월 16일 결성되어 일본 정부를 향해 문제제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본정부는 관여 사실을 부인했고, 이에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의 국내 최초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임을 공개적으로 증언하면서 세상과 단절된 채 침묵해야했던 피해자들이 세상으로 나오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김학순 할머니의 용기있는 행동은 국내를 비롯한 국제 사회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향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웃, 가족과도 단절된 채 일본군성노예 피해 사실조차 제대로 이야기 할 수 없었던 생존자들은 많은 여성, 시민들과 손잡고 동행하면서 적극적으로 일본정부의 범죄행위를 고발하기 시작했고, 세상을 향해 명예와 인권회복을 외치고, 자신과 같은 피해를 겪는 사람이 없도록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며 여성 인권·평화 운동가로 거듭나 활동하고 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군 위안부  (0) 202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