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차원 소녀의 티스토리 블로그
불임의 책임 남성? 여성? 본문
결혼을 하면 아기를 갖게 마련이다. 그러나 부부의 약 15%는 불임으로 고민하게 된다. 불임이란 임신 가능한 연령의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으면서 1년 이상 성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신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남의 정자로 인공수정 불임의 책임을 대부분 여성에게 미루는 사회통념과는 달리 아내 쪽에 문제가 있는 불임부부는 40%에 불과하며, 남편 혼자서 문제가 있는 부부 역시 40%에 이른다. 나머지 20%의 부부는 불임의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인데, 남녀 모두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불임부부의 80%는 다양한 생식기술의 발전으로 아기를 갖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남성불임은 대체로 정자의 이상에서 비롯된다. 정액 속에 정자가 없는 무정자증이거나 정자의 숫자, 운동성,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난자 한개의 수정에 필요한 정자의 수는 정액 1mL 기준으로 2천만마리이다. 남자가 한번 사정하는 정액은 평균 3mL이므로 정자수가 최소한 6천만마리일 때 불임이 되지 않는다. 정상적인 남자는 2억-5억마리의 정자가 들어 있다. 또한 정자가 기형이거나 활동성이 미약하면 수정이 어렵다. 정자수가 적은 남자는 인공수정(AI)이 권장된다. 성교 대신에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정자를 자궁 안에 넣어 수정되도록 하는 과정을 인공수정이라 한다. 1785년 이탈리아에서 수캐의 정액을 암캐의 질에 넣어 수정시킴으로써 최초의 인공수정에 성공했다. 젖소나 돼지 등 가축은 대부분 인공수정에 의해 새끼를 낳는다. 1949년에는 정액을 냉동시켜 오래 보존한 뒤에 다시 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어 인공수정은 획기적으로 도약했다. 사람의 정자는 액체질소의 용기 안에서 섭씨 영하 1백96도로 냉동되어 수년간 보관이 가능하다. 따라서 1954년부터 정자은행이 출현하여 불임부부들에게 임신의 기회를 부여했다. 인공수정은 남편의 정자에 의한 방법(AIH)과 제3자의 정자에 의한 방법(AID)으로 나뉜다. 남편의 정자수가 적을 때에는 여러 차례 수음을 하거나 성교 도중에 특수 콘돔을 사용하여 수집한 정자를 냉동보관해두었다가 적절한 시기에 아내의 질 안으로 넣는다. 특히 정관수술을 앞둔 남편은 정액을 정자은행에 보관해두고 훗날 아기를 가질 필요가 생기면 이 정자로 아내를 수정시킨다. 1997년에는 영국에서 남편이 사망하자 미망인이 정자은행에 보관된 남편의 정자를 요청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마침내 죽은 사람이 아내를 임신시키게 된 것이다. 남편이 무정자증이거나 유전병을 가진 경우 부부의 합의하에 제3자의 정자로 아내를 임신시킨다. 정자은행에서는 21-35살의 사내들로부터 정자를 받는다. 미국의 경우 정자의 주인은 대부분 돈이 필요한 의과대학생들인데 1회 기증에 50달러를 손에 쥔다. 정자제공자는 여러 차례 기증을 하며 이 정자는 여러 여자에게 제공된다. 동일한 남자의 정액에 의해 수정된 여자들은 같은 지역에 살기 십상이므로 그들이 낳은 자식들은 자라서 결혼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호적상의 아버지는 다를 망정 혈연적으로는 절반이 같은 형제자매인 셈이므로 근친상간에 버금가는 결과를 빚게 될 소지가 있다. 미국에서는 매년 17만2천명의 부인들이 인공수정을 한다. 출산율은 약 38%이다. 요컨대 매년 6만5천명의 아기가 인공수정으로 태어난다. 이중에서 3만명은 제3자의 정자로 잉태된 아이들이다. 미국인들은 해마다 인공수정에 1억6천5백만달러를 지출하고 있다. 여자가 불임이 되는 이유 여성불임의 주된 원인은 배란 이상, 나팔관 폐쇄, 자궁경부 점액 이상의 세가지이다. 불임부부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검사가 배란상태의 확인이다. 매달 규칙적으로 월경이 나오면서 생리통을 느끼는 여성에게는 대개 배란이 일어나지만, 보다 확실한 불임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 배란검사가 요구된다. 여자는 5개월 된 태아의 경우 7백만개의 난자를 만들 수 있는 세포를 갖고 있으나 태어날 때 2백만개로 줄어들며 사춘기에는 40만개가 남는다. 사춘기부터 난소의 활동이 시작되면서 매달 한개의 난자가 완전히 성숙하여 난소 바깥으로 배출되고 약 1천개 이상은 완숙에 이르지 못하고 도중에 시들어서 사라진다. 따라서 40만개의 난자 중에서 0.1%인 4백개의 난자는 성장하여 배란이 되지만 나머지 99.9%는 쇠퇴해버린다. 난소 바깥으로 배출된 난자가 정자와 만나 수정되면 임신이 된다. 요컨대 가임기간이 사춘기부터 폐경기까지 30여년에 불과하고 가임능력이 35살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는 것은 4백여개의 난자가 매월 한개씩 난소에서 배출되어 40대 중반에 모두 소진되기 때문이다. 나팔관 폐쇄는 가장 흔한 불임의 원인이다. 난관 또는 자궁관이라 불리는 나팔관은 배란된 난자와 사정된 정자를 받아들이는 곳인데, 수정란을 자궁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나팔관이 혼전 성관계나 문란한 성생활 때문에 폐쇄되면 정자가 난자에 접근하지 못하므로 수정이 될 수 없다. 자궁경부에서 분비되는 점액은 배란기가 가까워지면 정자의 침투를 수용한다. 그러나 경부 점액이 비정상적이면 정자의 운동성을 저하시켜 정자가 점액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제 때에 나팔관에 도달하지 못해 수정이 불가능하다. 배란 장애인 경우 불임치료는 내분비계의 기능을 바로잡아주는 호르몬 처방으로 가능하다. 호르몬으로 배란을 유도하여 임신율을 높이는 것이다. 자궁경부 점액이 이상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투여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이 통하지 않으면 남편 정액에서 비활동성 정자를 제거하여 운동성 정자가 증가되도록 처리한 다음에 자궁에 직접 주입하는 방식으로 인공수정을 시도한다. 나팔관이 폐쇄된 불임은 나팔관을 복원하는 수술을 하여 치료하지만 수술요법으로 임신이 되지 않으면 최후의 수단으로 체외수정 시술(IVF)을 받아야 한다.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발정기가 사라진 이유 (0) | 2021.09.17 |
---|---|
임신중 흡연, 태아 생식기능 파괴할수도 (0) | 2021.09.17 |
불임-절반은 남편 탓이에요 (0) | 2021.09.17 |
"임신 중 운동, 태어난 아기 폐 튼튼해져" (0) | 2021.09.17 |
"임신 전후 우울증, 임신성 당뇨와 연관"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