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경제의 흐름은? 미래학자 최윤식 박사가 주목한 경제 패턴과 세계 경제의 새로운 흐름에 대하여 <미래학자의 세계경제 시나리오>|작성자
2024년 세계경제를 움직이는 힘은 무엇인가
착시를 일으키는 소음에 속지 마라, 불확실한 위기 신호에 흔들리지 마라
안정적 장기 패턴을 분석하라, 데이터에 숨은 변수와 영향을 포착하라
미래학자 최윤식 박사가 주목한 경제 패턴과
핵심 신호로 통찰하는 2024년 세계경제 시나리오
<미래학자의 세계경제 시나리오 2024>

변동성이 크고 불확실한 시대, 2024년 경제를 전망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런 때일수록 단편적인 정보나 사건에 휘둘리지 않고 경제의 이치와 원칙을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 미래학자 최윤식 박사가 중장기 경제 패턴 분석에 힘을 쏟는 이유다. 패턴을 단순히 해석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숨은 변수와 그 변수가 경제의 미치는 영향까지 한 권에 담은 책, 《미래학자의 세계경제 시나리오 2024》가 출간되었다.

특히 중장기 미국 경제 흐름 분석과 2024년을 좌우할 핵심 신호와 보조 신호를 구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그리고 투자 시장에서의 왜곡과 착시를 분별해 주식과 채권 시장의 거시적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안정적인 투자 방향을 찾아내려 했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경제 주체인 중국의 경제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의 부동산 시장을 예측했다.
- 미국의 기준금리와 인플레이션율 장기 패턴을 고려할 때, 2024년 미국의 인플레이션 시나리오는 2가지다. 첫 번째, 미국의 물가는 코로나 팬데믹 직전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서 오랫동안 지속되는 시나리오다. 두 번째, 물가가 ‘일시적’으로 재상승한 후에 곧바로 ‘급락’하는 시나리오다. 극단적으로 인플레이션율이 0%나 마이너스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
- 2024년의 중국 부동산 시장은 현재 상황보다 더 악화할 확률이 높다. 그렇다 하더라도 중국 부동산 시장이 일시에 대붕괴하는 일이 일어날 확률은 낮다. 중국에서 2008년 미국의 부동산 버블 대붕괴 급의 충격이 발생하면 실업자 규모가 7,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정도 실업자가 일시에 발생하면 민란이 일어나고 시진핑 체제가 붕괴할지도 모른다.
- 2024년 한국의 부동산 시장 시나리오는 2가지다. 경기 침체나 불황이 발생할 경우, 2024년의 한국 부동산 시장은 한 번 더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2024년 미국 경제가 침체되지 않는다면, 한국 부동산 시장은 약하게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

√ 트렌드를 좌우하는 큰 힘부터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작은 변수까지
√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돌파하는 경제의 이치와 원리 중심의 통찰
√ 장기 패턴과 중기 패턴 분석부터 핵심 신호와 보조 신호의 구분까지
√ 70개 도표로 핵심만 간추린 2024년 세계경제 시나리오
저자 소개 : 최윤식
아시아를 대표하는 전문 미래학자(PROFESSIONAL FUTURIST),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
미국의 권위 있는 미래학 정규과정인 휴스턴대학교 미래학부에서 학위를 받았다. 피터 비숍(세계미래학회 및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 창립이사)과 크리스토퍼 존스(전 세계미래학회 사무총장), 웬디 슐츠(전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 회장) 등 미래학의 세계적 거장들을 사사했다. 미래학, 경영학, 철학, 윤리학, 신학을 공부한 그는 전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전문 미래학자들의 모임인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APF) 이사회 임원으로 활동했고, 아시아와 한국을 대표하는 전문 미래학자로 주목받고 있다.
그의 미래 연구 분야는 폭넓다. 국가와 전 인류 단위의 위기와 기회는 물론이고, 인공지능, 자율주행자동차 및 로봇, 나노 및 바이오, 미래 제조업 혁명, 우주 기술, 미래 인간 등 미래의 기술과 산업 방향, 그에 따른 미래 비즈니스 전쟁을 아우른다. 미국에서 인공지능 연구를 목적으로 한 스타트업 AIintelligence Inc.를 설립했고, 캘리포니아에서 미래학 전문대학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 이사회 임원, 삼성전자 DMC연구소 자문교수, 한국뉴욕주립대 미래연구원 원장,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 그는 개인과 기업과 우리 사회가 더 나은 미래, 바람직한 미래를 창조해갈 수 있도록 세계 최고의 미래 예측 능력과 미래전략을 지원하는 것을 소명으로 생각하고 있다. 미국, 한국, 중국 등을 오가며 미래 예측 기법, 미래 전략 경영, 미래 모니터링, 워-게임, 시스템 사고 등을 바탕으로 정부 기관과 국내외 대기업, 비영리 단체, 그리고 개인을 대상으로 미래와 관련된 예측, 자문과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