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새벽 배송 중이던 쿠팡 하청업체 배달노동자 사망···곁엔 택배상자 3개 그외

천아1234 2023. 12. 29. 15:59

택배노조 “과로사 추정···예견된 참사”

쿠팡 “우리 근로자 아닌 개인사업자”

경찰 마크
경기 군포에서 새벽 배송 중이던 쿠팡 하청업체 배달 노동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전국택배노조는 과로사를 주장하며 장시간 노동을 낳는 쿠팡 배송 시스템을 비판했다.
경기 군포경찰서는 13일 오전 4시 44분쯤 군포시 산본동의 한 빌라 4층 복도에서 쿠팡 퀵플렉스 배달기사인 60대 A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고 밝혔다. 주민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대원들이 A씨를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경찰은 A씨가 이날 택배 배송 업무를 하던 중 갑자기 쓰러져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숨진 A씨 옆에는 쿠팡 글귀가 적힌 종이상자와 보냉팩 등 쿠팡 택배상자 3개가 놓여 있었다.
쿠팡 하청업체에서 1년간 근무해온 A씨는 지난 12일 오후 8시부터 이날 오전 7시까지 심야 근무하는 것으로 예정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씨 시신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하는 등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숨진 A씨는 외상 등은 없었다”며 “부검 결과가 나와봐야 정확한 사망 원인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쿠팡 퀵플렉스 노동자는 쿠팡의 물류배송 자회사인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대리점과 위탁 계약한 물류업체 소속으로, 개인사업자로 분류된다. 택배노조는 쿠팡 퀵플레스 노동자들의 장시간 노동·과로 문제를 지적하며 지난 12일부터 국회 앞에서 100시간 철야 농성을 하고 있다.
택배노조는 A씨 사망 소식이 알려진 직후 국회 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인의 죽음이 과로에 따른 사망이 아닌지 철저한 조사를 촉구한다”며 “만약 이번 사건이 과로사로 판명된다면 예견된 참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 365일 가동하고, 낮이건 밤이건 새벽이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심지어 주말이 아닌 평일에 쉬어야 하고, 명절에도 정상근무를 해야 하는 쿠팡의 배송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장시간 노동을 낳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A씨는 그간 주 평균 52시간 일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택배노조는 “산재와 관련해 근무시간을 산정할 경우 심야배송의 경우 1.3배를 할증하도록 돼있다”며 “새벽배송 노동자들의 근무시간은 주 46시간으로 제한돼야 한다”고 말했다.
쿠팡은 이날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이와 관련해 “현재 사망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쿠팡 근로자가 아님에도 택배노조는 마치 당사 소속 배송기사가 과로사한 것처럼 허위주장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최근 쿠팡 하청업체 소속 배달 노동자의 사망 사건을 두고 쿠팡 측과 택배노조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16일 쿠팡의 물류배송 자회사인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쿠팡 퀵플렉스 기사 A(60)씨의 사망을 쿠팡을 비난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며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CLS는 이날 오후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심장 비대로 인한 사망이라는 국과수 1차 부검 소견과 경찰의 내사 종결 예정이라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택배노조는 고인의 안타까운 죽음마저 쿠팡에 대한 악의적 비난의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CLS는 "고인이 쿠팡 근로자가 아닌 전문배송업체 소속이라는 점을 밝혔으나 택배노조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허위 사실 유포를 지속하고 있다"며 "악의적인 허위 사실 주장에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쿠팡 측의 법적 조치 예고에 대해 택배노조는 "전형적인 원청 갑질"이라고 반발했다. 한선범 택배노조 정책국장은 "쿠팡의 물건을 배송하는 특수고용노동자인 택배 기사를 쿠팡 측이 자기네 근로자가 아니라고 한 것에 대해 우리가 비판하니 소송을 하겠다는 것은 전형적인 원청 갑질"이라며 "수십 년간 누적된 기업들의 간접 고용 폐해가 이번 사건으로 다시 드러난 것인데 이를 법으로 막겠다고 나서는 기업의 법꾸라지 행태는 근절돼야 한다"고 말했다.
CLS와 위탁 계약한 배송업체 소속 A씨는 13일 새벽 배달 업무를 하던 중 경기 군포시 한 빌라 복도에서 쓰러져 숨진 채 발견됐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부검 결과 A씨의 심장이 정상치의 두 배 이상으로 비대해져 있다는 구두 소견을 내놨고 경찰은 A씨가 심근 경색을 앓고 있었던 사실 등을 확인했다. 앞서 A씨의 유족은 "노조와 정치권에서 고인의 죽음에 대해 함부로 말하지 않았으면 한다"는 입장을 냈다.
한편 택배노조는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심장 비대는 전형적인 과로사, 뇌심혈관 질환 증상"이라며 "고인의 주당 평균 노동시간이 심야 배송임에도 55시간인 점에서 볼 때 과로사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소영 기자 sosyoung@hankookilbo.com
최나실 기자 verite@hankookilbo.com

쿠팡풀필먼트 ‘직고용 3위’의 그늘…기간제 고용은 1위인데

대기업집단 ‘쿠팡’ 집중분석
서울 시내에서 로켓배송 중인 쿠팡맨 모습. 연합뉴스
국내 기업 직접고용 3위, 기간제 노동자 고용 1위.29일 <한겨레>가 2022년 3월 말 기준 300인 이상 기업 3687곳의 고용형태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온라인 쇼핑·배달서비스 이용이 급증하면서 관련 기업의 인력 채용이 크게 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설립 6년이 채 안 된 쿠팡풀필먼트서비스의 급부상이 두드러졌다. 대기업집단 쿠팡(쿠팡그룹)의 물류 자회사인 쿠팡풀필먼트는 정규직이 9004명으로 37위에 그치지만, 기간제 노동자가 2만8775명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11만7236명), 현대자동차(7만1308명)에 이어 직접고용(정규직·기간제·단시간) 3위에 올랐다. 간접고용(파견·용역·사내하도급)을 포함한 전체 고용도 4만1207명으로 5위다. 뿐만 아니라 기간제 노동자 2위 역시 쿠팡그룹 전자상거래 회사 쿠팡(1만3605명)이었다.2014년 고용형태공시 제도 도입 초기에는 제조업의 사내하청 비율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됐다. 8년이 지난 지금은 산업구조 변화와 함께 쿠팡그룹으로 대표되는 전자상거래·운수창고·택배업 고용 규모가 빠르게 커지고 있다. 다만 혁신 기업을 표방한 이들 기업의 고용창출 이면에는 고용안정성이 취약한 기간제, 근로조건이 열악한 간접고용 같은 질 낮은 일자리 확산 문제가 있고, 그 만큼 고용 관행에 대한 사회적 감시·감독·평가가 중요해졌다. <한겨레>가 지난 28일 76개 대기업집단에 이어 29일 쿠팡그룹 소속회사 중 상시 고용 300명 이상으로 고용형태공시 의무가 있는 쿠팡풀필먼트와 쿠팡을 별도로 분석한 이유다.
 

국힘 반대로 1년 질질…김건희 특검법이 총선용? 억지다

도이치 ‘유죄’ 10개월…김건희 조사는 안 하는 검찰

수도권 총선 승리, 300만 인구 '수·용·성 벨트'에 달렸다

여야, '정치 일번지' 수원 승리에 사활
전석 독식 野에…與 '인물론' 도전장 내
'취임 3개월' 방문규 등 전면배치 승부수
민주, '새 얼굴' 등용 및 주민 피로감 변수
"현역 표 몰아줘" "경쟁 치열할 듯" 엇갈린 민심

편집자주

경기도는 내년 총선 최대 격전지다. 서울보다 10개 많은 59개 의석이 걸렸다. 특히 경기 남부권 수원(5개), 용인(4개), 성남(4개)의 13개 지역구는 여야 모두 승부처로 꼽는 곳이다. '수·용·성 벨트'로 불리는 이들 3개 시의 인구(317만명)와 의석수를 합하면 인천광역시와 비슷하다. 지난 총선처럼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 우세를 재연할지, 아니면 국민의힘이 열세를 극복해 수도권 승리의 교두보를 확보할지가 관전 포인트다. 총선 D-100을 앞두고 수·용·성 벨트의 표심을 짚어봤다.

경기 수원시 광교신도시 일대. 수원=연합뉴스

경기 남부권역의 '수·용·성(수원·용인·성남) 벨트'는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판세를 좌우할 최대 변수로 꼽힌다. 3개 지역을 합하면 인구 300만이 넘어 규모가 압도적이고, 유권자 변동 폭이 커 표심을 가늠하기 어렵다. 지난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강세를 보였지만, 과거 선거를 보면 선택을 바꾸는 '스윙 보터'가 많아 여야의 유불리가 엇갈렸다. 13개 의석이 걸린 수·용·성의 정치적 바람이 한강을 넘어 경기 북부로 향하며 증폭될 수도 있다.

이 중 '경기도 정치 일번지'로 통하는 수원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역구가 5개(갑·을·병·정·무)에 달한다. 현재 민주당이 꿰차고 있지만 새 얼굴로 바꾸려는 반면, 국민의힘은 인지도 높은 인사들을 내세워 설욕을 벼르고 있다. 수원, 용인, 성남의 총선 지형을 차례로 살펴봤다.


'5석 전석 차지' 민주당, 수성 의지...국민의힘 "기필코 탈환"

최근 두 차례 선거에서 수원 유권자들은 민주당을 선택했다. 2016년 20대 총선과 2020년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은 5개 지역구를 석권했다.(수원갑의 경우 이찬열 의원이 20대 국회에서 국민의힘 계열로 당적 변경) 문재인 정부 당시 집값 상승과 부동산 규제로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무성했지만 민주당에 표를 몰아줬다. 민주당은 내년 총선에서도 현상 유지가 목표다.

수원시민의 중위 연령은 2021년 기준 41.2세로, 전국(44.5세)이나 경기(42.6세) 지역과 비교해 '젊은 도시'에 해당한다. 60대 이상 노년층 지지가 두터운 국민의힘이 공략하기 만만치 않은 '험지 중의 험지'로 통한다.

그래픽=강준구 기자

하지만 원래 그런 지역은 아니다. 수원은 남경필 전 의원이 15~19대 총선에서 연달아 5선을 했고, 경기지사 당선의 발판이 됐다. 박종희(16·18대), 정미경(18·19대) 전 의원도 수원에서 배지를 달았다. '불모지'로 치부하기에는 섣부르다.

특히 젊은 세대가 몰린 영통구를 관할하는 수원정에 고가 아파트가 즐비한 광교신도시가 들어선 점도 반전을 노릴 만한 대목이다. 실제 지난 대선 당시 수원정은 수원 전체 지역구 가운데 유일하게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제친 곳이다.


'인물론' 승부 건 국민의힘...방문규·이수정 등 투입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뉴시스

국민의힘은 '인물론'으로 승부를 걸 참이다. 수원 지역 연고가 있는 후보를 총동원할 태세다. 당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는 김성원 의원은 통화에서 "일단은 판을 먼저 흔들어야 '뒤집기'도 가능하고, 판을 흔들 수 있는 요소는 결국 인물로 귀결된다"며 "여론조사 외에 다양한 지표를 참고하고 있는 데 (국민의힘으로) 우호적 변화가 감지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9월 취임한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3개월 만에 수원으로 차출했다. 영입 인사인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김현준 전 국세청장도 출마 채비를 마쳤다. 수원 출신으로 수성고를 졸업한 방 전 장관은 민주당 재선 김영진 의원의 수원병이나, 민주당 출신 무소속 김진표 국회의장 지역구인 수원무 출마가 거론된다. 같은 고교 출신 김 전 청장은 수원갑에서 김승원 민주당 의원과 맞대결이 예상된다. 이 교수는 경기대가 위치한 수원정을 일찌감치 점찍었다.


터줏대감 떠난 자리 '새 얼굴' 시급한 野

그래픽=강준구 기자

민주당은 그간 김진표 의장, 박광온 의원 등 중도 성향 인사를 중심으로 수원의 표밭을 다졌다. 이번에는 '새판'으로 맞설 태세다. 특히 내년 총선 불출마가 기정사실로 여겨지는 김 의장의 지역구 수원무가 관심이다. 김 의장 보좌관 출신 이병진 수원무 지역위원장 직무대행과 수원시장 출신 염태영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의 출마가 점쳐진다. 수원무는 노년층 거주지역이 포진한 구도심과 젊은 층 인구가 많은 영통구 일부를 모두 끼고 있어 여야 어느 쪽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곳이다.

변수는 연이은 민주당 독점 체제에 피로감을 느끼는 지역 민심이다. 수원 장안구에 거주하는 이모(70)씨는 "수원은 진보성향이 강한 곳이지만 특정 정당이 국회에서 법안부터 지역 현안까지 일방적으로 처리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민주당에 등을 돌리는 시민이 늘고 있다"며 "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 간 경쟁이 치열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독점' 피로감에도..."현역 꺾기 어려워" 민심은 미지수

반면 국민의힘 후보들이 또다시 고전할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집권 여당의 이점을 갖더라도 어디까지나 '정치 신인'인 만큼, 공고히 다져온 민주당의 '현역 프리미엄'을 넘어서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김미숙(45·영통구 광교동)씨는 "영통구 주민들은 현역 의원에게 표를 몰아주는 경향이 강했다"며 "국민의힘에서 전국적 인지도를 갖춘 후보를 내놓아도 민주당을 꺾기에는 버거울 것 같다"고 예상했다.

수원으로 유입하는 외부 인구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연고지'를 강조하는 것으로는 총선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원 구도심에 사는 40대 후반 남성은 "외지인이 많아 수성고니, 수원고니 하는 학벌 약발은 별로 안 통할 것 같다"면서 "결국 인지도와 중량감을 갖춘 인물로 결정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김민순 기자 soon@hankookilbo.com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나광현 기자 name@hankookilbo.com